2024. 5. 27. 18:02ㆍJavaScript
Window 내장 객체
- 인터넷 창 자체를 나타내는 것
- document의 상위. document의 부모객체
- window의 자식 객체
1. DOM(Document Object Model) = document, 즉 문서
브라우저(인터넷)에서 눈으로 보이는 화면
2. BOM(Browser Object Model) = Location history screen navigator
브라우저(인터넷)에서 DOM의 나머지 부분
Location : 다른 페이지로 이동할 때 사용
reload() : 현재 페이지 새로고침
replace() : 다른 페이지로 이동
history : 사용자가 방문한 페이지 기록을 관리
back() : 이전 페이지로 이동
forward() : 다음 페이지로 이동
go() : 특정 페이지로 이동. 음수면 이전페이지, 양수면 다음 페이지
screen : 사용자 화면에 대한 정보를 알려줌
width() : 화면의 가로길이
height() : 화면의 세로길이
navigator : 화면에 대한 정보를 나타냄. 브라우저의 종류, 버전, 운영체제 등
브라우저 종류 : 크로인가? 웨일인가? 엣지인가?
브라우저 버전 : 몇 버전인가?
운영체제 : window? mac?
alert, prompt, console, setInterval, clearInterval
alert : window에 저장된 알람창
prompt : window에 저장된 알람창에서 입력한 가능한 input이 들어간 창
console : window에 저장된 개발자용 표시창. 일반 사용자에겐 보이지않음
- .log : 일반적으로 메시지 출력
- .info : 정보 메세지 출력
- .warn : 경고 메세지 출력(노란색으로 표시)
- .error : 오류메세지 출력(빨간색 배경으로 표시)
- .clear : 콘솔에 표시된 모든 내용을 지움
setInterval : 반복적인 기능 설정
clearInterval : 설정한 타이머를 중지. 기록을 유지할지 초기화할지 설정
'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자바스크립트 정리 (0) | 2024.05.28 |
---|---|
정규표현식 (0) | 2024.05.23 |
JS 실습 - 클릭한 숫자 기록하기 (0) | 2024.05.22 |
for문 in, of (0) | 2024.05.22 |
JS 실습 - 유효성검사 (0) | 2024.05.22 |